1) 행동주의 이론
- 객관적 실험적 관찰을 통해 측정가능한 외현적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함
- 조건형성을 통한 학습
-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S-R이론, 연합이론)
- 인간을 자극에 반응하는 수동적 존재로 봄
⦁고전적 조건형성
- 이반 파블로프, 파블로프의 개 실험
- 고전적 조건형성의 과정 : 무조건 자극 > 무조건 반응
중립자극 > 반응없음
무조적 자극+중립자극 = 조건자극 > 무조건 반응
조건자극 > 조건반응
⦁용어
- 무조건 자극 : 이전의 훈련 없이도 반응을 유발하는 것
- 무조거 반응 : 자극에 의해 무조건 일어나는 반응, 학습되지 않은 생득적인 것, 본능
- 중립자극 : 종소리, 발자국 소리등과 같이 일상적으로는 반사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자극
- 조건자극 : 중립자극이 무조건 자극과 짝지어짐으로써 반응을 유발하게 되는 것
- 조건반응 : 조건자극이 무조건자극과 함께 짝지어졌을 때 생기는 학습된 방응
⦁주요개념
- 소거 : 고전적 조건형성이 이루어졌다 해도 조건자극이 무조선 자극 없이 되풀이
제시되면, 조건반응이 점차로 사라지게 되는 것
- 자극 일반화 : 원래 조건 자극이 아닌 자극이라도 조건자극과 유사한 다른 자극에 동일한 조건반응이 나타남
- 자극 변별 : 무조건 자극과 짝지어지는 자극과 짝지어지지 않는 자극을 구분하는
학습을한 것
- 고차적 조건형성 : 조건자극에 대한 조건방응이 형성된 뒤 제 2조건자극에 대해
조건반응을 형성 할 수 있음
⦁고전적 조건형성의 학습원리
- 시간의 원리 :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 사이의 시간적 관계, 조건자극이 무조거자극보다 먼저 제시될 때 조건반응이 쉽게 형성
- 강도의 원리 : 무조건자극은 조건자극의 강도보다 그강도가 강하거나 동일하여야 함
- 일관성의 원리 : 조건자극은 일관된 자극물이어야 함
- 계속성의 원리 : 자극과 반응의 결합관계가 반복되는 횟수가 많을수록 조건화가 잘 됨
⦁교육적 시사점 : 학습에서 교사의 행동은 아이들에게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무조건자극이 됨. 따라서 교사가 고전적 조건형성에 관하여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학생들이 겪고 있는 문제나 생활, 학습지도 시 원하는 반응을 이끌어내는데 도움을 받을 것임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고전적 조건화를 활용하여 아이들이 부담스러워 하는 과제에 즐겁고 긍정적인 활동과 연계시킴으로써 학습을 즐겁게 만들 수 있음
⦁시행착오설
- 손다이크
- 학습은 반복적인 시행착오를 통해 이루어짐
- 학습은 자극과 반응의 연결
- 자극과 반응의 연결은 반복적인 무작위적 시행착오를 통해 이루어 짐
- 문제상자 탈출 실험(연습과 시행착오를 거듭함에 따라 탈출시간 감소, 성공 횟수 증가)
⦁시행착오학습의 원리
- 연습의 법칙(빈도, 사용의 법칙) : 연습, 시행이 거듭될수록 정확한 반응은 많아지고 부정확한 반응은 적어짐
(수정 : 보상과 같은 효과요인이 제공되면 연습횟수가 줄어도 학습증대)
- 효과의 법칙(만족-불만족의 법칙) : 만족한 결과를 가져온 행위는 반복될 가능성이 높고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가져온 행위는 반복될 가능성 감소
(수정 : 만족감, 쾌락에 의해서만 학습되는 것이 아니고 처벌, 비판 등의 불만족 요인에 의해서도 학습 강화
- 준비성의 법칙 : 학습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학습 강화
⦁교육적 시사점
- 정확한 반응을 할 때 보상
- 반복 연습
- 만족감, 벌, 비판 드의 효과적 활용
- 학습자의 준비성의 효과적 활용
⦁조작적 조건형성
- 스키너
- 스키너 상자, 티칭머신
⦁조작적 조건형성의 원리
- 유기체는 외부자극에 대해 능동적으로 반응하는 자ᄇᆞᆯ적인 존재
- 유기체가 환경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학습이 일어나기 때문에 조작적 조건형성이라고 부름
(행동반응 >>> 강화 , 유기체가 능동적 반응을 먼저 보이고(조작행동) 이에 따른 강화가 제공)
⦁주요개념
- 정적 강화 : 가치 있는 어떤 것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의 강도와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칭찬, 인정, 작품전시 등등)
- 부적 강화 : 학습자가 원하지 않는 어떤 것을 제거함으로써 학습자의 행동을 격려하는 것
(청소당번 면제 등등)
- 벌(부적 강화 아님) : 행동을 약화시키거나 감소시키려고 의도되어진 것
(수여성 벌 : 불만족스러운 결과들 또는 혐오자극을 사용, 제거성 벌: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거)
⦁강화물
-일차적 강화물 : 그 자체로써 생리적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것 (먹을 것)
-이차적 강화물 : 그 자체로 강화능력을 갖고 있지 않은 중립자극이 일차적 정적 강화와 결합하여 강화물의 기능적 속성을 갖게 되는 것( 쿠폰)
⦁강화 계획 : 바람직한 행도을 보였을 때 주어지는 강화물의 적절한 시기와 방법에 대한 일종의 원칙
- 계속적 강화계획
-간헐적 강화계획
(고정간격-월급, 변동간격-낚시, 고정비율- 쿠폰10개치킨 1마리, 변동비율-슬롯머신)
⦁교육적 시사점
-프로그램 수업개발
-교수기계 개발
-외재적 강화물의 사용을 적극 권장
⦁사회학습이론
- 반두라
- 관찰학습 실험
- 모방, 관찰, 대리경험을 통한 학습 강조 : 관찰학습
-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의 사이(행동주의 학습이론 원리 받아들이면서도 인지과정 역할 인정
2) 인지이론
- 인지이론 학습이란 시행착오를 경험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통찰 전략을 활용해 이루어진다.
-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되는 관계를 직감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게된다(: 통찰)
- 인간이 환경을 능동적으로 선택하고 경험적 지식을 재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3) 정보처리이론
- 인지과정을 컴퓨터의 정보처리과정에 비유
- 감각기억(외부자극을 잠시 저장. 1~3초) > 작업기억(5~20초) > 장기기억
- 작업기억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청킹, 자동화전략 사용
(청킹 : 기억을 서로 의미 있게 연결시키거나 묶는 인지 과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학 간단정리(4 (0) | 2021.01.12 |
---|---|
교육심리학 간단정리(3) (0) | 2021.01.12 |
교육심리학 간단정리(1) (0) | 2021.01.11 |
교육철학 간단정리(3) (0) | 2021.01.10 |
교육철학 간단정리!(2) (0)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