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양교육사의 이해
1) 고대와 중세의 교육
- 고대 그리스 교육
⦁ 폴리스(도시국가), 시민을 대상으로(여성,노비 제외)
⦁ 소피스트(철학자, 궤변론자) : 자연철학적 관점에서 상대주의적 지식관을 가지고 인간중심의 철학으로 전환시켰다.
⦁ 소크라테스 : 문답법으로 모든 인간이 무지의 자각을 통해 자신의 현 상태를 확인하고
실천력을 담보한 앎의 세계로 나아가 진리를 깨치는 지행합일을 추구
(반어법 : 무의식적 무지에서 의식적 무지를 이끌어 내는 단계
상기법 : 무지의 자각이 된 상태의 학습자를 참된 지식과 합리적인 지식으로 이끔
산파법 : 교사가 우리의 의식에 내재한 무의식적 지식을 외부로 나오게 하는 법)
⦁ 플라톤 : 이데아(보편적이고 절대적이며 영원한 진리), 교육이란 사물의 법칙 이면에 내재한 사무르이 이데아를 파악하는 안목을 기르게 하는 것
⦁ 아리스토텔레스 : 실재의 세계에서 존재의 본질을 추구하고 현실의 합리적 이성적 활동을 통한 실증과학을 중요시했다.
- 중세 교육(신, 종교가 중심인 세상)
⦁주정주의적 교육 : 이성보다 감정이 중요
⦁스콜라철학 : 기독교 신앙에 중심을 둔 철학
⦁기사도교육 : 봉건제도의 산물, 기사들을 예의와 인성을 갖춘 무사로 양성함
2) 르네상스 교육, 종교개혁기의 교육
- 르네상스 교육(신에서 인간으로 중심이 바뀜)
⦁ 르네상스 : 고대 그리스와 로마 고전을 통해 새로운 인간생활과 문화를 수립하려는 운동이다. 중세의 신 중심 세계관에서 벗어나 인간의 자연스런 욕구의 표현과 실현을 추구하고자 하는 인문주의에 있다.
⦁ 인문주의 : 스콜라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자유인들의 삶을 재발견하고 고전을 통해서 인간의 자율성과 주도성을 되찾아 자기 삶의 주인이 되는 자유교육이념을 재생
(나중에 키케로 주의[고전의 키케로의 말와 행동을 맹신]로 변질됨)
⦁ 에라스무스 曰 “인간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존재이므로, 본성을 방법에 의하여 부단히 개발하고, 방법은 실천을 통하여 완성시켜야 한다”
- 종교개혁기 교육
⦁ 종교개혁 : 부패한 종교로부터 벗어나 성경에 나온 종교로 돌아가고자하는 성서주의와
신앙의 해방운동(마틴 루터, 칼뱅)
⦁ 루터 : 부정부패가 만연한 교회가 중심이 된 종교생활은 성서의 권위에 의존하여 각자의 이성과 양심에 따라 신앙생활을 영위해야 하는 것을 강조
3) 근대교육 시작(17~18)
- 실학주의 : 교육은 실생활이나 사물을 통하여 인산의 삶에 구체적으로 필요한 지식을 가르치는 실제적이고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 인문적 실학주의 : 고전을 연구,고전을 읽고 이해하는 언어교육의 중요성
(라블레, 비베스)
⦁ 사회적 실학주의 : 실생화에서 유능한 사회인 및 세상일에 밝은 인간으로서 풍부한 경험
(몽테뉴, 로크)
⦁ 감각적 실학주의 : 인간의 감각적 직관을 기초로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며, 자연과학의 발전에 따른 과학적 지식과 연구방법을 도입하여 실생활에 유용한 지식으로 삼으려 했다.
(지식이란 ‘감각을 통하여 나온다는 것’과 학습은 반드시 ‘사물-사고-언어’ 순으로 되어야
한다는 근대적 교육방법론으로 평가될 수 있다.)
- 계몽주의 교육 : 모든 것을 이성의 관점으로 인간 중심의 합리적인 신념과 철학을 제공
⦁ 루소 : 시민들이 대리권자를 선출하여 정부에서 일할 권한을 부여하고, 대신 정부는 시민의 천부적 자연권인 생명/자유/재산을 보호할 의무를 지닌다.
교육을 통해 ‘합리적인 개인’이라는 목표를 달성해야함
- 자연주의 교육 : 자연에 따라 교육한다
⦁ 개인의 자연적인 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이것을 발달시켜 완전한 ‘인간’으로 기르고자 하였다. 자연을 관찰하여 법칙을 발견하고 교육의 과정에 적용하고 아동발달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인간의 자연성을 강조하는 교육방식이다.
⦁ 루소의 [에밀]
⦁ 루소의 교육원리 :
자연인을 위한 교육 - 자신의 본성의 표현으로 자각
소극적 교육의 원리 - 아동이 주도적으로 체험하고 느끼고 깨닫게함
연령별 차이에 따른 교육 - 각각의 연령대가 그 자체의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동중심주의 - 아동이 능동적인 학습자가 되어야 함을 강조
4) 근현대교육(19~20)
- 신인문주의 교육 : 실학주의의 공리성과 계몽사상의 이성 지상주의를 비판하며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을 바라고 인간의 정서와 감정을 바탕으로 전개
⦁ 페스탈로치 : 평등적 인간관, 모든 인간의 도덕성을 일깨워 인간 본성이 지니고 있는 선함과 발전 가능성을 전제로 조화로운 발달 이념을 표명했다.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도덕적 인간’이다.
⦁ 프뢰벨 : 자유주의 교육관, 유아중심, 킨더가르텐 운영, 유아는 식물과 같이 내재된 가능성은 인생 초기 경험을 통해 자연과 신과의 조화를 이루게 하는 성장을 도모할 수 있게해야한다. 페스탈로치의 직관 교육에 대한 원리를 이어받았다.
- 국가주의 교육
⦁ 밀 [자유론] : 국가가 시민에 대해 일정 수준의 교육을 강제하고 요구해야한다.
⦁ 콩도르세 : ‘가르칠 자유와 배울 자유’
⦁ 피히테 : ‘독일국민에게 고함’ - 학교 설립의 당위성과 국가의 성격과 천명을 자각하고 의식적으로 교육을 통하여 모든 국민의 자녀가 가지고 있는 도덕적/신체적/지적/직업적인 천성을 국가를 위하여 발휘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철학 간단정리!(2) (0) | 2021.01.09 |
---|---|
교육철학 간단정리!(1) (0) | 2021.01.09 |
한국교육사 간단정리! (0) | 2021.01.08 |
교육의 의미와 목적(2) (0) | 2021.01.07 |
교육의 의미와 목적 (1) (0) | 202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