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한국교육사 간단정리!

1) 한국교육사 정리

 

- 한국교육의 기원

애니미즘(동물, 식물, 해, 달), 샤머니즘(무당), 토테미즘(동물이나 식물으로부터 부족의 기원)

[삼국유사] - 단군신화, 홍익인간(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라)

 

- 삼국시대 교육

⦁ 불교영향을 많이 받고 형식적인 교육에 영향을 미친 유교

고구려

태학(소수림왕, 최초의 관학)

경당(사립민간, 평민부터 귀족)

백제

박사제도

신라

화랑도(화랑 - 귀족, 낭도 - 평민 or 귀족, 세속오계)

(세속오계 : 사군이충, 사친이효, 임전무퇴, 교유이신, 살생유택)

통일신라

국학(신문왕)

⦁ 독서삼품과(원성왕)

발해

⦁ 주자감

 

- 고려시대 교육

⦁ 불교가 고유사상인 무속신앙과 결합해 백성에게 큰 영향, 유교는 통치이념 고찰을 위해

 과거제도(광종) : 지방호족 견제, 왕권강화

(제술업, 명경업, 잡과, 승과, 무과)

 국자감(성종) : 문묘(제례기능), 관학, 대학교육, 공민왕때 성균관으로 명칭바꿈

 학당 : 국자감 하위에 속하는 중등교육기관

 향교 : 지방중등교육기관, 대성전(문묘), 명륜당(강학)

 사학 : 국자감 수준의 고등교육기관, 12도, 상류층 사교모임, 공양왕때 폐지

 서당 : 지방 일반서민계급의 교육기관

 지눌 : 돈오점수(단번에 진심의 이치를 꺠친 뒤에 번뇌와 오랜 습기를 제거)

정혜쌍수(선정과 지혜를 따로 닦을 것이 아니라 병행)

 

 

 

 

 

 

- 조선시대 교육

⦁ 유교에 기반을 둠

 성균관 : 문묘(공자의 제사를 지내는 곳), 명륜당, 입학자격은 소과 합격

 사학(사부학당) : 성균관의 부속 중등교육기관, 한양의 동서남북에 있음, 관학

 향교 : 향풍순화, 인재양성, 지방, 사대부 자녀

 서원 : 선현존숭, 후진양성, 지방, 대표적 사학, 지역 양반사회의 사교장소,

사림의 공론유발, 문묘대신 우리나라의 뛰어난 선대유학자와 구국충신을 모시는 사당

 서당 : 훈장, 소규모 초등교육기관

 퇴계이황 : 성리학의 존재와 당위의 관게를 이와 기로 해명,

이기이원론(이가 기보다 먼저 존재, 이는 기 바깥에 독립해서 존재하는 실재)

 율곡이이 : 성리학, [격몽요결, 학교모범, 성학집요]

이기일원론(이와 기가 다르나 양자의 상호의존적인 측면을 강조)

⦁ 과거제도 : 문과(소과(성균관 입학시험), 대과), 무과, 잡과 (승과 사라짐)

 

- 개화기 새대의 교육

 갑오개혁 : 과거제도 폐지, 교육행정기구인 학무아문,

 홍범14조 : 교종

 한국 최초 근대식 학교인 원산학사, 광혜원(알렌), 최초의 근대학교인 배재학당,

최초여성교육기관 이화학당(스크랜턴)

 

- 일제강점기의 교육

⦁ 통감부의 우민화 정책을 실시

 사립학교령 : 사립학교 통제

 

- 현대사회의 교육

⦁ 헌법31조 :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자녀에게 적어도 초등교육과 법률이 정하는 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진다.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및 대학의 자율성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한다.

학교교육 및 평생교육을 포함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및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철학 간단정리!(1)  (0) 2021.01.09
서양교육사 간단정리!  (0) 2021.01.08
교육의 의미와 목적(2)  (0) 2021.01.07
교육의 의미와 목적 (1)  (0) 2021.01.07
학벌에 관해  (0) 202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