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교사의 자질

교사로서의 자질

 

첫째

교사는 자신의 담당과목에 있어서 정확한 지식과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그런 모든 것들을 학생들에게 잘 전달해야한다.

교사라는 직업이 아이들에게 지식과 능력을 전달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는 누구보다 정확해야하고 항상 공부해야하며 아이들의 틀린 부분을 고쳐줘야한다.

만약에 교사가 잘못된 지식을 가진 채 학생들을 가르친다면 학생들은 의심하고 신뢰를 잃을 것이다.

교사로서 인정받고 싶다면 자신의 지식을 계속 확인하며 시간의 흐름에 맞게 변화시키면서 아이들에게 알려줘야한다.

그리고 지식을 알고만있다고 해서 교사라고 할 수 없다. 교사는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이기에 지식을 잘 전달해야하는 의무도 있다.

아무리 많은 지식을 갖고 있더라도 그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지 못한다면 그 교사는 교사로서의 능력이 부족한 것이다.

 

둘째

교사는 학생을 한 사람으로서 공평하게 대해야한다.

교사는 교직생활 중에 각자의 개성을 지닌 수 많은 학생을 보게된다.

그렇기에 모두를 공평하게 대하는 것은 어렵다. 말을 잘 듣는 학생, 말을 듣지 않는 학생 등 당연히 학생들에대한 판단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상황에서 특정 학생들을 편애하면 안된다. 그리고 학생들을 상대할 때는 그저 어린 학생으로 생각하지 말고 인격체를 가진 한 사람으로서 대해야한다.

그런 모습들이 학생들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을 한 사람으로 대해 준다면 학생들도 한 사람으로서 행동하려 노력할 것이고 이 과정속에서 이상적인 모습과 가까운 인격으로 변화될수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에 교사가 학생을 무시하고 어린애처럼 대한다면 그 학생도 그 교사를 무시하고 더욱 어린애처럼 행동할 것이다.

또한 성장기에 이런 영향들은 한사람이 살아가는데에 있어 평생에 걸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선생님들은 학생들을 대하는 태도에 매우 신경써야한다.

 

셋째

교사는 우선적으로 학생에게 좋은 교사여야한다.

교사로서 만나는 사람들은 학부모, 동료선생님, 학생등이 있다.

교사에게 이 사람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학생이다. 학생을 먼저 생각하고 좋아하고 아껴아한다.

학생을 좋아하지 않는 교사는 절대로 좋은 교사가 될 수 없다. 좋은 교사인척 할 수 있겠지만 결코 오래가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진심으로 학생을 좋아하는 선생님은 아이들을 위해 노력하고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그러다보면 아이들은 분명히 그 부분을 알아줄 것이고 그럼 아이들도 선생님을 좋아하게될 것이다.

그리고 나는 그 무엇보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선생님보다 더 나은 선생님은 없는 것 같다

. 그리고 학창이절 이런 좋은 기억들 덕분에 교사를 꿈으로 정하는 학생들이 많다. 교사를 꿈으로 가진 친구들을 보면 학창시절 좋은 교사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그 긍정적인 영향을 퍼트리고 싶은 꿈이 있다.

이렇게 좋은 교사는 학생들의 인생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좋은 교사를 잊지 않는다.

표현하지 않을 수 있다. 그래도 그 학생이 할 면서 계속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그러기 때문이다.

 

마지막

교사는 절대로 돈을 밝히면 안된다.

교사라는 직업을 돈을 보고 선택하는 것이 최악의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아이들의 가치를 돈으로 매기고 그런 행동들은 학생들에게 보이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그 학생은 그런 교사를 보고 어떤 생각이 들까 절대로 긍정적이진 않을 것이다.

돈이 앞서는 사람을 사람을 진심으로 상대할 수 없기 때문에 학생에게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절대로 교사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으로 생각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교육사 간단정리!  (0) 2021.01.08
교육의 의미와 목적(2)  (0) 2021.01.07
교육의 의미와 목적 (1)  (0) 2021.01.07
학벌에 관해  (0) 2021.01.06
대학을 가는 이유  (0) 2021.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