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24)
교육철학 간단정리!(1) 교육철학이란 교육철학 : 교육이란 을 철학적 방법으로 탐구하는 학문 1) 교육철학의 의의 - 교육의 본질을 분석하는 학문 - 교육의 이상을 탐구 2) 교육철학의 기능 - 분석적 기능 : 이론적 또는 일상적 언어의 의미와 이에 포함된 논리적 관계를 분석 - 평가적 기능 : 교육의 가치 기준이나 준거에 비추어 실천, 이론, 주장, 원리의 만족도를 밝히는 행위 - 사변적 기능 :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가설, 아이디어, 개념을 찾아내는 이론적 활동 - 종합적 기능 : 교육에 관한 형상이나 과정을 전체로 파악하고, 여러부분과 차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것을 말한다. 3) 교육철학 탐구법 - 분석적 방법 : 분석 - 현상학적 방법 : 교수 주체와 학습 주체 간의 관계를 중심적 - 비판적 방법 : 교..
서양교육사 간단정리! 2. 서양교육사의 이해 1) 고대와 중세의 교육 - 고대 그리스 교육 ⦁ 폴리스(도시국가), 시민을 대상으로(여성,노비 제외) ⦁ 소피스트(철학자, 궤변론자) : 자연철학적 관점에서 상대주의적 지식관을 가지고 인간중심의 철학으로 전환시켰다. ⦁ 소크라테스 : 문답법으로 모든 인간이 무지의 자각을 통해 자신의 현 상태를 확인하고 실천력을 담보한 앎의 세계로 나아가 진리를 깨치는 지행합일을 추구 (반어법 : 무의식적 무지에서 의식적 무지를 이끌어 내는 단계 상기법 : 무지의 자각이 된 상태의 학습자를 참된 지식과 합리적인 지식으로 이끔 산파법 : 교사가 우리의 의식에 내재한 무의식적 지식을 외부로 나오게 하는 법) ⦁ 플라톤 : 이데아(보편적이고 절대적이며 영원한 진리), 교육이란 사물의 법칙 이면에 내재한..
한국교육사 간단정리! 1) 한국교육사 정리 - 한국교육의 기원 애니미즘(동물, 식물, 해, 달), 샤머니즘(무당), 토테미즘(동물이나 식물으로부터 부족의 기원) [삼국유사] - 단군신화, 홍익인간(인간을 널리 이롭게 하라) - 삼국시대 교육 ⦁ 불교영향을 많이 받고 형식적인 교육에 영향을 미친 유교 고구려 ⦁ 태학(소수림왕, 최초의 관학) ⦁ 경당(사립민간, 평민부터 귀족) 백제 ⦁ 박사제도 신라 ⦁ 화랑도(화랑 - 귀족, 낭도 - 평민 or 귀족, 세속오계) (세속오계 : 사군이충, 사친이효, 임전무퇴, 교유이신, 살생유택) 통일신라 ⦁ 국학(신문왕) ⦁ 독서삼품과(원성왕) 발해 ⦁ 주자감 - 고려시대 교육 ⦁ 불교가 고유사상인 무속신앙과 결합해 백성에게 큰 영향, 유교는 통치이념 고찰을 위해 ⦁ 과거제도(광종) : 지방호..
교육의 의미와 목적(2) 교육의 여러 형태 1)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 형식적 교육 : 특정한 교육의 이념과 목적에 따라 적절한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특정 장소에서 학습자에게 계획적 지속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실시하는 교육의 형태이다.(학교교육) - 비형식적 교육 :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무의도적 교육 (정보통신매체, 인간관계, 연수원, 기업교육, 시민교육 등 국가의 인증을 받지 않은 교육) -형식적 교육, 비형식적 교육은 모두 의도적 교육(교육을 주된 목표로함)이다. 2) 가정교육, 학교교육, 사회교육 - 가정교육 : 인간 교육의 기초로서 부모가 자녀의 교육을 지도하고 돕는 교육 가정 교육의 특징 : 자연적이며 무의도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애정의 습득과 생성 원리를 습득하는 곳으로 인간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곳..
교육의 의미와 목적 (1) 교육의 의미와 목적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어원 - 동양에서의 교육 : 가르치고 기르는 일 - 서양에서의 교육 : education( e(밖으로) + ducare(이끌어내다) ) 아이의 잠재력을 이끈다. pedagogy( paidos(어린이) + agogos(이끈다) ) -동양과 서양의 차이 : 동양은 윗사람이 아이들을 가르쳐서 좋은 방향으로 이끈다. (교육의 방향이 밖에서 안으로 진행된다.) 서양은 아이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잠재력을 밖으로 이끌어낸다. (교육의 방향이 안에서 밖으로 진행된다.) 2) 교육의 기본적 의미 - 교육은 주형으로서의 교육(밖에서 안으로)과 성장으로서의 교육(안에서 밖으로)이라는 두 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 교육은 개인과 둘러깐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바람직한 인간상을 구..
학벌에 관해 학벌에 관하여 학벌(學閥)과 더불어 학력(學歷)은 특정 학파 또는 특정 학교 출신자가 어느 직업 혹은 특정 기업, 특정 집단 내에서 암묵적인 지위나 세력을 형성한다. 그리고 자기들의 지위를 유지하거나 세력을 확장하는 데 이용하고 그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출처 : 위키백과) ​ 학벌소외감 정도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170623057700003) 직장인 10명 중 3명 "학벌로 인한 소외감 느낀다" | 연합뉴스 직장인 10명 중 3명 "학벌로 인한 소외감 느낀다", 정성호기자, 경제뉴스 (송고시간 2017-06-23 10:16) www.yna.co.kr 현대사회에서는 학벌을 중요시한다. 물론 그 중요도는 점점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들 한다. 과연 학벌은 우리..
대학을 가는 이유 대학을 진학하는 이유 ​ 대학진학이유 (사진 출처 : http://kyup.konyang.ac.kr/?p=3106) 우리가 대학에 온 이유 | 건양다움 Share on Facebook Tweet on Twitter 올해 11월 15일에 치러질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59만 4000여 명이 수능에 지원했다고 밝혔다. 과거 부모님 세대에는 경제적인 이유로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배움의 기회가 확대되자 수능 응시율과 대학 지원율이 높아지면서 대학에 진학하는 목적 역시 다양해졌다. 고3 수험생 시절, 간절히 바랐던 대학입학. 그 당시에는 어떤 마음을 가지고 대학원서를 작성했을까? 이에 대한 이유와 함께 만족도는 어떤지, 대... kyup.kony..
교사의 자질 교사로서의 자질 첫째 교사는 자신의 담당과목에 있어서 정확한 지식과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그런 모든 것들을 학생들에게 잘 전달해야한다. 교사라는 직업이 아이들에게 지식과 능력을 전달하는 역할이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는 누구보다 정확해야하고 항상 공부해야하며 아이들의 틀린 부분을 고쳐줘야한다. 만약에 교사가 잘못된 지식을 가진 채 학생들을 가르친다면 학생들은 의심하고 신뢰를 잃을 것이다. 교사로서 인정받고 싶다면 자신의 지식을 계속 확인하며 시간의 흐름에 맞게 변화시키면서 아이들에게 알려줘야한다. 그리고 지식을 알고만있다고 해서 교사라고 할 수 없다. 교사는 정확한 지식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가르치는 사람이기에 지식을 잘 전달해야하는 의무도 있다. 아무리 많은 지식을 갖고 있더라도 그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지..